온라인]2020년대의현대미술:오늘의현대미술계는지속가능한가

강사명 | 임근준() | 지점명 | 압구정본점 CH 1985(149기)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강의일시 | 매주 금 19:00-21:00 (별관 0층 온라인 화상 수업) | ||||||
강의기간 | 2023.03.10~2023.06.02 | 수강료 | 300,000원 | ||||
강의횟수 | 12회 | ||||||
강의개요 | 온라인] 2020년대의 현대미술 : 오늘의 현대미술계는 지속 가능한가
■강사소개_임근준 - 미술 · 디자인 이론/역사 연구자 ■클래스 소개 이 강좌는, 현대미술의 파란만장한 역사를, 오늘에서 어제로 나아가는, 시간의 반대 방향을 따라 배치된 대주제를 통해 고찰합니다.전지구화(글로벌라이제이션)와 다문화주의의 시대가 붕해하는 도정에서 현대미술이 어떤 근본적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지, 왜 지금이야 말로 가장 흥미로운 시대인지, 어떤 실험의 장이 새로이 펼쳐지고 있는지 살펴본 이후, 현대미술과 함께/따로 전개된 현대미술평론의 역사, 에이즈대위기가 현대미술의 발전에 미친 영향, 동시대미술의 의제였던 장소성, 동시대미술의 방법론이었던 전유, 컴퓨테이셔널한 사고의 산물이었던 개념미술, 동시대성의 태동을 위한 관문이 된 미니멀리즘, 마르셀 뒤샹이 미국의 네오-다다 세대에 넘겨준 상징 자본으로서의 실험성, 추상표현주의가 초현실주의를 집어삼킨 과정, 바우하우스식 교육 방법의 확산, 초기 모더니즘의 성립, 미술이 자연을 인식하고 재현하는 방식 등을 순서대로 공부합니다. 비고: 과거의 강의 프로그램이, 각각 메소드, 역사적 작업, 기념비적 전시들을 통해 현대미술사를 고찰했다면, 이번 봄 학기의 강의는 시기별 대주제를 통해 역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방식을 취합니다.■수강생 준비물 온라인은 ZOOM으로 진행 됩니다. ※ 신청 후 유인물 공유 메일 취합으로 연락드리니 연락 꼭 받아주세요. ※ zoom 수업은 실시간으로 진행되어 다시보기 불가합니다. ■이런 분들을 위한 클래스 입니다. 1. 현대 예술에 대해 호기심 있는 일반인 2. 미대를 나왔지만, 역사와 이론을 잘 모르는 경우 3. 미술품 수집을 위해 현대미술의 작동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경우
■ 취소 규정 안내 1.모든 수업은 당일 취소 불가 2. 강연 수업 : 강의 개시일, 전날까지 취소 가능 3. 재료비 포함 수업 : 강의 당일 제외 / 3일전 부터 취소불가 ① EX) 5일 수업 시, 1일 까지만 취소 가능( 2~5일 취소 불가) ② 취소 불가 기간에, 취소시 재료비 차감 되오니, 참조 바랍니다.
■ 주차 안내 강의시간 포함하여, 해당일 3시간 무료주차 ① 백화점 [본관 지하주차장] 이용시 문화센터로 방문하여, 차량 등록 필수 ② 백화점 옆 [압구정공영주차장]은 종이수강증 지참 (문화센터 데스크발급) 21시까지만, 이용가능하며, 이후 유료 ③ 별관 컬쳐파크는 유료주차
|
||||||
동영상 | |||||||
취소 및 환불규정 |
(방문일 기준)
|
강의계획서
번호 | 강의내용 | 회원준비물 | 교재정보 |
---|---|---|---|
1 | 버질 아블로와 '현대미술계 바깥의 현대미술' : 포스트컨템퍼러리 아트로서의 스트리트 패션에 관한 보고서 | ||
2 | 현대미술평론과 큐레이팅의 작은 역사 : 감식가 버나드 베런슨에서 독립 큐레이터하랄트 제만을 거쳐 이론가/예술가 히토 슈타이얼까지 | ||
3 | 에이즈 대위기와 현대미술의 변환 (르네상스 미술에 | ||
4 | 현대미술과 현대건축의 어떤 원격 조응 : 장소성의 (실종) 문제 2.1 | ||
5 | 전유의 동역학 : 실재성은 어떻게 재인식 됐고 어떤 파장을 낳았는가? | ||
6 | 사이버네틱한 사고의 확산과 매체의 재창안 : 기술 환경의 변환과 그에 조응하는 예술 창작 과정의 대두 | ||
7 | 형식주의의 색/형 실험에서 '정체성 을 따르는 추상' 으로 : 샘 길리엄과 주디 시카고의 경우 | ||
8 | 마르셀 뒤샹이 세상에 남긴 바 혹은 마르셀 뒤샹으로부터 주어진 것에 관해 | ||
9 | 페기 구겐하임과 추상표현주의의 승리 : 금세기미술갤러리(1942-1947)에서 <16인의 미국인 (16 Americans)> 전(1959)까지 | ||
10 | 바우하우스의 총체예술적 페다고지(교육학) : 라슬로 모호이너지와 요제프 알버스 | ||
11 | 폴 세잔과 모더니즘의 형성 : 현대미술의 성립 조건에 대한 탐구 | ||
12 | 미술이 자연 환경을 다루는 방법 2.0 : '환경을 생각하는 미술'의 인식론과 그 전환의 계보 + 라우션버그의 로키(ROCI) 프로젝트 |
추천소감
번호 | 수강점 | 기수 | 강의내용 | 글쓴이 | 등록일 | 추천 | 입력된 수강소감이 없습니다.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