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사명 | 임근준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지점명 | 압구정본점 | ||||
강의 일시 | 매주 금 19:20-22:00 (별관 4층 4층 - 토파즈홀) | ||||
강의 기간 | 2022.06.17 ~ 2022.08.26 | ||||
강의 횟수 | 10회 | ||||
수강료 | 200,000원 | 재료비 | 0원 | ||
클래스 소개 |
★강의장
현대-한국-미술의 다채로운 역사 :어떻게 다시 쓸 것인가
10회로 구성된 이 강의 프로그램은, 한국현대미술의 역사적 변환 과정을 고착하는
한국현대미술의 역사와 그 전모는, 전후 모더니즘과 사회-비평적 리얼리즘의 연이은
1987/88년 이후 본격화했던 한국당대미술의 전개 과정에 있어서, 당대성(동시대성)의
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혹은 포스트-컨템퍼러리 시대의 한국현대미술은 어디를
이 강의 프로그램은 각각의 질문에 대한 최선의 답을 찾고 또 제시해보고자 한다. 한국현대미술을 사랑하는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.
*토파즈홀에서는 취식이 금지되어 있습니다. ※일정 및 일부 진행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 ※강좌 운영이 불가능할 경우 강좌 진행이 취소 혹은 일정이 변동 될 수 있습니다. ※문화센터 강좌 접수 및 강의는 전체 별관 컬처파크에서 진행됩니다. [주소: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29길 21 컬처파크 1층 문화센터]
★주차관련 -강의시간 포함하여 해당일 3시간 무료주차가능 *백화점 본관 지하 주차장 이용시 문화센터로 연락 혹은 방문하여 차량등록 필수(무인으로 *백화점 옆 압구정 공영주차장은 종이수강증(문화센터 데스크에서 발급) 지참 -별관 컬처파크는 주차가 되지않습니다. [별관 유료 주차 /만차시 불가]
|
||||
준비물 | - | ||||
교재정보 | - | ||||
유의사항 | - | ||||
강좌 취소 및 환불 안내 |
(방문일 기준)
|
번호 | 강의 내용 | 회원 준비물 |
---|---|---|
1 | “2020년대 한국-현대-미술의 주요 이슈들”은, 모두 9회로 구성된 강의 프로그램입니다. 2021년의 미술시장 과열과 2022년의 제1회 프리즈서울이라는 큰 행사를 치르고 난 시점(時點)에서, 다시 차분하게 한국현대미술의 긴요한 연구 과제들, 즉 미해결 의제들을 살펴봅니다. | |
2 | 포스트-앵포르멜로서의 방법론적 전환과 단색화(단색조 회화)의 성립 : 박서보, 이우환, 윤형근, 김창열, 하종현, 정상화의 경우 | |
3 | 1990년대 민족/민중미술의 해체와 그 대응논리에 대한 비평적 회고 : 포스트-민족/민중미술이라는 정체불명의 자의식은 어떤 비평적 효과를 발휘했는가? | |
4 | 연보로 살펴보는 민중미술운동의 기승전결 : 1969/1979년 이중 출발을 통한 한국인의 정신성 갱신 프로젝트 | |
5 | 한국현대미술의 세대 변화과 당대성의 획득 : 1987년의 민주화 대투쟁에서 2008년의 세계 금융 위기까지 | |
6 | 한국현대미술사의 우회 고찰: ‘리얼한 것’으로부터의 추동 | |
7 | 포스트-컨템퍼러리 시대의 한국/현대/미술 : 2008년부터 2022년까지 | |
8 | 미술관 소장선에 임베드된 비평적 역사관 : 미술사의 헤게모니를 직조-추동하는 소장선을 구축-업데이트하기 | |
9 | ‘조선 향토색’ 혹은 ‘한국의 미’와 한국현대미술 : ‘구수한 큰맛’의 세계에서 찾아낸 현대적 원형질로서의 추상 언어와 그 이후 | |
10 | 동시대미술로서의 한국화와 그 이후 |
강사명 | 임근준 | ||
---|---|---|---|
강좌명 |
|
||
약력 |
번호 | 수강점 | 기수 | 강의 내용 | 글쓴이 | 등록일 | 추천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입력된 수강 소감이 없습니다. |
회원 또는 휴대번호로 간편하게 강좌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.
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.